1. 글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부자 되고 싶은 아빠 도도한 쭌냥이입니다.
최근 "소부장", "소부장"하는데 "소부장"이 무엇인지 알아보았습니다.
2. 소부장이란?
"소부장"은 "소재·부품·장비"의 줄임말로, 주식투자에서 자주 언급되는 용어입니다. 소부장 관련주는 소재, 부품, 장비를 생산하는 기업들의 주식을 의미합니다. 한국에서는 특히 일본의 수출 규제 이후 소부장 관련 기업들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정부에서도 해당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소부장 관련주는 대개 반도체, 디스플레이, 2차 전지 등 첨단 기술 산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이들 기업은 주요 산업의 핵심 부품을 공급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장비를 제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반도체 웨이퍼를 제조하는 회사나, 반도체 장비를 만드는 기업이 소부장 관련주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소부장 관련 주식에 투자할 때는 해당 기업의 기술력, 시장 점유율, 글로벌 경쟁력, 정부의 정책 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들 기업은 기술 변화에 민감하고, 특정 산업의 호황이나 불황에 따라 주가가 크게 변동할 수 있으므로 장기적인 시각과 함께 철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3.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이 생산하는 품목
3.1 소재
- 프리커서(Precursor):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필요한 화학 물질로, 얇은 막을 형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High-K 물질이나 Low-K 물질 등이 있으며, 주로 반도체 트랜지스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 합성쿼츠 및 보론 카바이드: 미세화 공정에서 플라즈마의 강한 마모를 견디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는 반도체 식각 장비에서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 CMP(화학적 기계 연마) 소재: 반도체 공정에서 웨이퍼를 평탄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재입니다. 미세 공정으로 갈수록 이 소재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3.2 부품
- HBM(고대역폭 메모리) 부품: AI 가속기 등 고성능 컴퓨팅 장비에 사용되는 HBM3E 등의 부품입니다. 반도체 칩을 패키징하는 데 사용됩니다.
- EUV(극자외선) 마스크 및 펠리클: 극자외선을 이용해 반도체 회로를 미세하게 패턴화하는 공정에 사용됩니다. 이는 고해상도의 반도체 칩을 제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실리콘 러버 소켓: AI GPU와 같은 고성능 반도체 제품의 생산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전기적 연결성을 제공합니다.
3.3 장비
- 식각 장비: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특정 영역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장비입니다. 최신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코팅 장비: 웨이퍼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줄이고 제품의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4. 기타 산업별 주요 생산 품목
4.1 자동차 산업
전기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등을 생산합니다. 이러한 배터리 소재는 전기차의 성능과 효율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자동차 전장 부품, 경량 소재 등도 소부장 기업들의 주요 생산 품목으로, 차량의 전기 시스템과 연비 향상에 기여합니다.
4.2 디스플레이 산업
디스플레이 산업에서는 OLED 소재, 편광판, 광학 필름 등이 중요한 제품입니다. 스마트폰과 TV 등에 사용되는 OLED 디스플레이의 핵심 소재는 유기 발광 물질입니다.
4.3 2차 전지 산업
2차 전지 산업에서도 소부장 기업들은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성능을 높이는 분리막과 전해질은 배터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들 소재는 전기차와 에너지 저장 장치(ESS)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4.4 철강 및 금속 산업
철강 및 금속 산업에서는 고강도 특수강, 비철금속 소재 등이 주요 생산 품목입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항공우주, 해양, 건설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4.5 에너지 산업
에너지 산업에서도 소부장 기업들은 태양광 패널, 풍력발전기 부품 등의 필수 소재를 공급하며, 지속 가능한 에너지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5. 글을 마치며
소부장 품목들은 하나라도 수급이 어려우면 제품 생산에 상당한 문제를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이런 원자재 또는 원소재 관련 기술들이 향상되어 균형 잡힌 경제 발전이 이루어졌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저희도 부자 될 수 있지 않을까요?
이상으로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인버스 ETF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1) | 2024.09.01 |
---|---|
big cut 포함, 금리 관리 용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0) | 2024.08.15 |
인도 투자 지금도 괜찮을까? (ETF) (0) | 2024.07.31 |
현금 흐름을 만들자! 월배당 ETF! 71.7% 40대 이하 젊은 층 선호 (1) | 2024.07.22 |
머하냐? 인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2) | 2024.07.04 |
댓글